반응형

건강의 의학적 정의

 

건강은 광범위한 의미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 의학적으로 건강의 정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건강의 정의

안녕(wellness, 安寧)은 각 개인의 가치기준과 신념에 따라 다르게 정의되며 또한 그가 살고

있는 사회, 지역사회, 가족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다음 예를 생각해 보자.

 ▣ 철수, 5세, 심장병을 가진 채로 태어났으나

     지금은 치료되어 유치원에 갈 수 있고, 동네에서 친구들과 공놀이를 하며,

     자라서는 소방대원이 되기를 희망한다.

 ■ 김씨, 34세 두 자녀가 있는 어머니,

    만성 류머티스 관절염이 잇ㅇ며 휠체어를 타고 지낸다.

    가족을 보살피고 특별히 제작된 차를 이용하여 시간제 근무지에 간다.

 □ 이씨, 68세, 심장병을 앓았고 고혈압 약을 복용한다.

    이씨는 은퇴했지만 환자 안내자로서 병원에서 주 3일을 자원봉사자로 일한다.

 

철수, 김씨 그리고 이씨는 그들 자신들이 질병이 있다고 말할 만한 신체 조건을 가졌지만

그들은 사회에 생산적인 일원으로서 건강하다고 말할 수 있다.

 

안녕과 건강은 단순히 병이 없는 것만이 아닌 그 이상이다.

건강은 개개인에 의해 정의되어야 하고, 자신의 신체적,지적,정서적,영적,사회문화적 그리고

환경적인 면을 고려하지 않으면 안된다.

 

 

 

1950년대 세계보건기구(WHO)에 의해 정의된 건강의 개념을 보면 건강은 단순히 병이 없거나

허약하지 않은 상태뿐만 아니라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으로 완전한 안녕상태라고 정의했다.

그러나 이 정의는 널리 인정은 받고 있고 광범위한 뜻을 내포하고 있지만 너무 추상적이며

또한 건강과 질병에 대한 절대적 개념으로 그외의 변화에 대해서는 언급이 없다고 할수 있다.

 

1957년 세계보건기구의 전문분과위원회에서는 건강에 대한 좁은 뜻의 실용적인 정의를 내린

바 있다. 즉 건강은 타고난 유전적 조건으로나 환경적으로 주어진 조건 아래에서 적절한

생체기능을 나타내고 있는 상태라고 하였다. 좀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연령별, 성별, 지역사회별,

지리적 지역별 등 기본적인 조건에 따라 정해진 기준치의 정상범위내에서 정상적으로 기능을

나타내는 상태라고 할 수 있다.

 

 

건강의 정의는 우리가 일상적으로 느끼고 생각하는 질병이 있고 없고가 아님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건강의 정의는 건강의 변화를 경험한 개개인에 따라 개별화되어 있다. 즉 그가 가지고

있는 가치와 판단에 근거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참고로, 동양철학에서 바라본 건강함이란 건전한 정신을 가지고 있으면서 신체 근골과 내장이

튼튼하고 기능을 잘하며 체액이 부족함이 없고 병마에도 강한것을 의미합니다.  

 

 

 

 

반응형
Posted by 모모천사
,